아이들이 자신 스스로 보호할수 있도록 호신용으로 태권도를 배우게 하는 부모들이 많습니다. 시대가 변하고 인식이 변하면서 인기가 예전같지 않다고 느껴질수도 있지만 적어도 태권도 1단정도는 따게 하고싶다. 라는 부모의 마음은 변함이 없는것같습니다. 태권도 띠 순서에 대해 설명해드리겠습니다.
태권도 띠 순서
흰띠
↓
↓
↓
↓
↓
↓
↓
↓
↓
↓
태권도 띠 순서는 흰띠 -> 노랑띠 -> 초록띠 -> 파랑띠 -> 빨강띠 -> 품띠/검은띠 순서입니다.
품띠와 검은띠는 같은 레벨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태권도 배우는 과정
태권도를 시작하는 순서는 처음 시작할때 도복을 입고 흰띠를 메는것이 복장의 기본입니다. 첫시작은 흰띠부터 시작으로 흰띠를 메고 여러가지 기본동작을 배우는데 심사에 있어 중요한 요소인 품새를 배우게됩니다. 처음엔 태극1장을 배우게되고 매 달 마다 태권도 내 승급심사를 보고 승급을 하며 품새를 태극 1장부터 태극 8장까지 배우게됩니다. 태극 1장부터 8장까지 전부 배우게되면 그 때부터는 1품/단 심사를 준비하게됩니다. 그 땐 국기원 또는 국기원에서 지정한 지역내 큰 체육관에서 승품/단 심사를 보게됩니다. 그 심사에서 합격을 하게되면 1품/단증이 지급됩니다.
품띠와 검은띠 차이점
승품심사와 승단심사의 차이점과 품띠와 검은띠의 차이점은 같습니다 만 17세 이상은 단, 만 17세 이하는 품 이런식으로 나이를 기준으로 나눠진 차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고등학생 대학생 성인들이 품띠를 매지않는 이유와 초등학생 중학생들이 품띠를 매는 이유가 그 때문입니다. 만 17세 이전에 품을 딴 사람이 만 17세가 되면 단이 되는것 입니다.
태권도 품/단증 재발급에 대해서
만 17세 이전에 품을 딴 사람이 만 17세가 되면 이론으로는 단이지만 서류상으로는 품으로 되어있기때문에 단증을 제출해야되는 일이 있다면 국기원 홈페이지에서 품/단 전환 신청을 하시면 간편하게 바꿀수 있고 재발급 신청을 하시면 재발급 신청하는 날짜 기준으로 최신 디자인의 품/단증으로 재발급 받을수 있습니다.
왜 체육관마다 띠색깔이 달라?
체육관마다 흰띠 ~ 빨강띠 사이에 추가되는 띠가 있거나 하는 차이는 있을수 있으나 배우는 과정은 동일합니다.
태권도 품/단증 조회하는 방법
태권도 단증 조회
태권도 단증조회 국기원 세계태권도본부 태권도 품/단증 조회하는 방법 네이버, 다음, 구글 등등 자신이 이용하는 검색 사이트에서 국기원을 검색하시면 사진처럼 맨 위에 국기원 홈페이지가
beige-chu.tistory.com
'잡다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칼로리 계산기, 탄단지 비율에 맞춰먹자 (0) | 2021.07.10 |
---|---|
수박 칼로리, 여름을 시원하게 즐기는 방법 (1) | 2021.07.08 |
태권도 단증 조회 (0) | 2021.07.06 |
은근히 재밌는 지렁이 키우기 게임 | Slither (0) | 2020.06.18 |
기초대사량 칼로리 탄단지 비율 계산 사이트 | TDEE Calculator (0) | 2020.06.15 |